본문 바로가기
차량 지식

승용차 타이어 관련 지식 정보, 관리방법, 교환주기 등

by JKcar 2023. 2. 13.
반응형

자동차-타이어-썸네일
자동차 타이어

타이어 기본 지식

 

타이어의 역할

타이어는 기본적으로 차량의 하중을 지탱합니다.

타이어와 휠의 조합으로 적게는 1000kg부터 많게는 수십t의 무게가 나가는 차량을 무리 없이 버텨낼 수 있습니다.

 

타이어는 노면의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합니다. 타이어의 고무재질과 그 속의 공기로 탄성을 유지하며, 

서스펜션의 역할을 도와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타이어는 차량의 마찰력 발휘하여 구동과 제동, 조향의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도와줍니다. 상태가 좋지 못한 타이어는 

올바른 구동과 제동, 조향의 기능에서 안전의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새 타이어의 주의사항

새 차를 구매하거나, 타이어를 새것으로 교체한다면 교체 후 약 1000km 까지는 과속,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라고 이야기합니다. 새 타이어는 기존의 사용하던 타이어보다 부드럽고 무른 편이며, 자리가 덜 잡힌 상태입니다.

 

그래서 과도한 코너링, 비포장도로 주행과 같은 타이어에 가혹한 상황에서의 주행은 피하도록 합시다.

 

 

타이어 속 쓰인 숫자와 문자의 뜻

타이어-숫자-설명
출처 - 넥센타이어

가장 중요한 타이어의 생산 연도와 주차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3013은 30번째 주/ 2013년도에서 13을 따왔습니다.

즉, 2013년도의 30주 차에 생산된 타이어라는 뜻입니다.

우측의 글씨를 보면 내 타이어의 치수와 사양을 알 수 있습니다. 단면폭, 편평비, 휠인치수, 하중지수, 속도기호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인치업?

이란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 말은 차량의 핸들링, 가속력, 제동력, 주행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림 Rim의 외경을 높이고, 고성능의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기존 차량의 림 Rim은 사이즈가 작아서 맞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편평비?

편평비란 자동차 바퀴에서 휠을 뺀 타이어의 높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타이어폭 대비 타이어의 높이를 나타낸 것으로 편평비가 높으면 승차감이 좋지만 코너링이 안좋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편평비(단위 %) = (타이어 단면 높이 / 타이어 단면 폭) x 100 입니다.

 

 

타이어의 교환 시기 확인

 

타이어-마모도
타이어 마모도

홈 중간에 - 모양이 있습니다. 알기 쉽게 사진에 흰색 동그라미로 표시를 한 부분이 타이어 한계선입니다. 이 부분까지 타이어의 마모가 되었을 때 타이어 교환 시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동전 100원짜리를 이용하여 마모도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타이어-마모도
타이어 마모도

백 원짜리를 타이어 홈에 넣어서 감투가 안 보이면 충분한 상태,

감투가 반이상 보인다면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닳지 않았더라도 3년이 지난 후에는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고, 5년이 지났을 경우는 교환하길 권장합니다.

타이어가 오래되면 경화가 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타이어 구조

타이어-구조
타이어의 구조

1. 트레드

노면과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부분으로 마모성, 컷팅성이 양호해야 합니다.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뎌야 하며, 발열이 적어야 합니다.

 

2. 숄더

트레드의 가장자리이며 사이드월의 윗부분으로 충격에 강해야 하며, 방열효과과 뛰어나야 합니다.

 

3. 사이드 월(side wall)

타이어의 옆부분으로 카카스를 보호하고, 굴신운동을 하여 승차감을 좋게 합니다. 

타이어의 규격, 사이즈 등 각종 문자가 이곳에 쓰여있습니다.

 

4. 비드

코드의 끝부분을 감싸주어 타이어를 림(휠)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비드와이어, 코아고무 등 재질로 이루어졌습니다.

 

5. 벨트

스틸와이어 또는 섬유로 구성되며, 트레드와 카카스 사이에서 주행 시 노면충격을 감소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6. 인너라이너

튜브 대신 타이어 안쪽에 있는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특수 고무층입니다.

 

7. 카카스

타이어 내부의 섬유나 스틸로 구성된 코드층입니다.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견디어 타이어의 원래 모습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8. 그루브

트레드의 홈 부분으로 조향성, 견인력, 제동성, 배수 등의 기능을 합니다.

 

9. 캡플라이

벨트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 지로 주행 성능을 향상해 줍니다.

 

 

계절별 타이어 차이점

스노우-타이어
겨울철 스노우 타이어

계절별 타이어는 트레드의 모양과 재질의 차이가 있습니다.

서머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마른 도로에 최적화되어있습니다. 비를 대비하여 배수능력과 빗길 제동능력이 뛰어납니다.

높은 온도에서 그립력(마찰력)이 증가하는 고성능 차량에 주로 서머 타이어가 장착됩니다.

 

윈터 타이어는 썸머 타이어 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를 사용합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타이어의 고무 재질은 경화가 되어 딱딱해집니다. 딱딱해진 타이어는 노면의 접지력과 마찰력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이로써 제동거리도 길어지므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를 사용하면 추운 도로에서 더 높은 접지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올 시즌 타이어(all-season tire)를 주로 사용합니다. 봄, 여름, 가을에 사용하기 좋고 영하권인 겨울철엔 다소 성능이 떨어집니다. 

 

유럽에서는 올 웨더 타이어(all-weather tire)를 주로 사용합니다. 겨울철에도 윈터 타이어와 비슷한 접지를 갖지만 마른 노면에서 성능이 조금 떨어지고, 내 마모성 또한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계절 혹은 주행 환경에 맞춰 타이어를 선택하길 바라겠습니다.

 

타이어의 위치 교환은 필수인가?

타이어의 위치교환은 필수입니다.

주행 환경 및 구동 방식에 따라 마모되는 위치와 속도가 다릅니다.

후륜이나, 전륜 차량의 경우 위치교환을 해주어 균등한 마찰력을 확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편마모가 생기거나 하면 타이어의 급제동 시 핸들이 떨리거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위치교환-설명-이미지
타이어 위치교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