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량 지식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 알고 있나요?

by JKcar 2023. 1. 2.
반응형

자동차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 잘 알고 있나요?

1가구당 2대 이상의 자동차를 가지고 있을 만큼 자동차의 수는 최근 10년여간 더욱 늘어났습니다.

차량이 늘어남에 따라 관리해야 할 차량이 그만큼 늘었는데요,

여러분들은 자동차의 소모품들의 교환주기를 잘 알고 교환하고 있나요?

차량을 관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소모품 교환주기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모품의 교환주기

항목 (추천)교환 주기 점검주기 특징
엔진오일 및 필터 5,000km ~ 8,000km , 6개월 · 엔진의 원활한 동작
연료필터 (가솔린) 40,000km ~ 60,000km 1년 불순물이나 슬러지, 수분 걸러줌
연료필터 (디젤) 30,000km ~ 40,000km
자동 변속기 오일 60,000km ~ 80,000km , 4년 · 변속기 변환시 마찰 줄여줌
수동 변속기 오일 40,000km ~ 60,000km , 2년 · 클러치 디스크 교환시 함께 교환
브레이크 오일 50,000km , 2년 10,000km , 6개월 브레이크 압력 전달
브레이크 패드 40,000km ~ 50,000km 1년 차량 정지 역할
브레이크 디스크 40,000km ~ 60,000km 1년 패드와 맞닿는 부분
브레이크 라이닝 100,000km ~ 150,000km 1년 화물차, 오래된 차에 존재
클러치 디스크 (삼발이) 80,000km   수동변속 차량에 존재,
슬립발생 즉시교환
파워 스티어링 오일 60,000km , 3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차량은 오일 교체 불필요
점화 플러그 및 점화 케이블 40,000km   - 백금 소재 : 80,000km교체
- LPG, 가솔린 차량만 사용
예열 플러그 (디젤) 100,000km 4년   디젤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있는 열원
배터리 60,000km , 3년 1년 기동전동기, 점화장치에 필요
부동액 60,000km , 3년 6개월 엔진의 열을 식혀줌
타이밍밸트 80,000km , 4년 1년 - 캠축을 회전시키는 역할
- 냉각수, 텐셔너베어링도 한 번에 교환
타이밍밸트 (체인방식) 200,000km , 10년 2년
타이어 교체 60,000km , 5년 매년 위치교환 트레드가 소진된 타이어 교체
타이어 위치 교환 12,000km , 1년 1년  
휠 얼라인먼트 핸들쏠림, 편마모 12,000km , 1년 타이어 균형 맞추기
에어컨 필터 10,000km , 6개월 수시 실내의 먼지, 냄새 제거
와이퍼 10,000km , 1년 수시  

다음과 같이 교체 주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엔진 오일 및 필터

 - 엔진 실린더 피스톤 마찰을 줄여주는 '마찰 완화 기능' 주된 기능

 - 엔진 내부의 부식찌꺼기를 기름통으로 운반 기름통의 찌꺼기는 오일 필터에서 정화

 - 교환 주기에 다다를수록 색이 점점 검은색

자동차-엔진오일-교환
교환주기인 엔진오일

 

연료 필터

 - 연료가 엔진에 공급되기 전 불순물, 슬러지, 수분 등을 걸러주는 필터가 연료 필터입니다.

 - 디젤의 경우 친수성 즉,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수분이 함유된 디젤은 기름의 윤활성이 떨어집니다. 결국 기름의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 겨울엔 연료 필터에 포집된 수분이 얼게 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증상도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자동차-연료필터
연료필터

 

변속기 오일

 - 주행 시 기어의 변화가 있을 때 기계적 마찰을 줄여줌

자동차-미션오일

 - 보닛을 열어 미션오일을 확인해 보아 검은색으로 보일 시 교환 시기가 다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계통

 - 브레이크오일은 브레이크를 밟으면 패드와 디스크가 맞닿아 제동 할 수 있도록 압력을 전달

 - 브레이크 패드는 직접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와 맞닿는 부분으로 사용할수록 소모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점검이 필수

 - 오래된 차종이나 화물차량에 뒷바퀴에 브레이크 라이닝을 사용하는 차종이 있음

 - 클러치 디스크는 삼발이라고 불리며 수동기어 변속에서 동력 전달로 사용되는 부품으로 과도한 반클러치 사용을 하면

  클러치 디스크가 타거나 손상될 수 있음

자동차-브레이크-디스크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

 

점화플러그

 - 점화플러그는 시동을 걸 때 엔진의 폭발이 일어나도록 불꽃을 발생시켜 주는 장치

 - 가솔린, LPG 차량에 사용되며 디젤 차량은 예열플러그가 존재함

 - 백금 소재로 만들어진 점화플러그는 8만km에 교환

 - 일반 소재는 4만km에 교환

자동차-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

 

예열플러그 (디젤)

 - 엔진의 냉간 시 초기 원활한 시동이 걸리게끔 연소실을 가열함

 - 가열된 연소실은 인젝터에서 분무되는 연료의 무화를 도와 시동이 걸리게끔 함

 - 가열된 연소실은 연료의 착화성을 향상해,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매연의 감소 목적

자동차-예열플러그자동차-예열플러그-단면
예열 플러그

 

배터리

 - 자동차 시동을 걸 때 전동기와 점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 새것이어도 한번 방전되면 배터리의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듦

 - 보통 3년마다 교환을 권장하고 1년마다 상태 점검

자동차-배터리
자동차 배터리

 

부동액

 - 부동액 (냉각수)는 겨울에 동파를 막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2~3년마다 교환해 주는 것을 권장

 - 냉각수를 6개월마다 점검하여 부족하다면 채워주는 것을 권장

자동차-부동액
부동액

 

타이밍 벨트

 - 엔진의 크랭크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와 캠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를 연결해 캠축을 회전시키는 역할

 - 타이밍 벨트는 크게 무리 없으면 8만km, 체인식은 20만km에 교환

자동차-엔진
타이밍 벨트

 - 타이밍 벨트 교환 시 냉각수와 텐셔너베어링, 워터펌프, 오링, 가스켓 등 세트로 한 번에 교환을 원칙

자동차-타이밍밸트-구성
타이밍 벨트 세트

 

타이어 계통

 - 차량의 앞바퀴, 뒷바퀴의 마모 상태가 각각 다름 이를 타이어 위치교환을 통해 마모 상태의 균형을 맞춤

자동차-바퀴-교환방법
타이어 위치교환

 -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하여 편마모나 승차감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관리

 - 타이어의 마모가 과도하게 생기거나, 주름, 갈라짐이 있는지 확인

 - 휠의 각도와 길이를 맞추는 휠 얼라인먼트를 통해 주행안정성을 높임

 - 휠 얼라인먼트가 틀어질 경우 주행 시 핸들 떨림이 발생

 - 핸들떨림의 원인 중 휠밸런스가 맞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휠 밸런스도 확인

자동차-타이어
자동차 타이어

이상으로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