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량 지식

겨울철 자동차 관리 및 소모품 관리 방법 설명

by JKcar 2023. 11. 17.
반응형

겨울철이 몸이 움츠러들면서 자동차 또한 기계부품들도 움츠러듭니다. 자동차를 오래도록 고장 없이 타기 위해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 및 소모품 확인 방법 6가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자동차사진
겨울철 자동차 사진

 

 

1. 배터리 점검

자동차배터리
자동차 배터리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배터리입니다. 겨울철 배터리 성능이 저하하게 되고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선의 방법은 차량을 가급적 지하 주차장이나 따뜻한 곳에 주차를 하거나, 블랙박스 전원을 빼놓는 것입니다. 주차 중 블랙박스 기능이 필요하다면 보조배터리를 설치하는 것 또한 방법이 됩니다. 

배터리상태확인방법
배터리 상태창 확인

보닛을 연 후 자동차 배터리를 상태창을 봤을 때 녹색이거나 검은색인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방전의 가능성이 큽니다. 개인이 충전식 점프선을 구비하고 있다면 응급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점프선이 없다면 긴급출동을 불러 조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겨울이 되기 전 배터리를 확인하여 + , - 단자에 배터리액이 새는 곳이 없는지 정도는 확인하면 좋겠습니다.

 

2. 부동액 (냉각수) 점검

자동차부동액
자동차 부동액

흔히 냉각수라고 부르는 부동액입니다. 부동액은 냉각수를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얼지 않게 만든 것입니다. 부동액은 엔진 및 관련 부품의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 부동액은 교환성 소모품이 아닙니다. 냉각수 용기의 H와 L의 중간 눈금정도의 양이 채워져 있으면 적정량이고 부족하다면 채워주면 됩니다.

 

 

3. 타이어점검

자동차바퀴
자동차 타이어

타이어의 점검은 배터리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겨울철 공기는 수축하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이 되기 전 공기압을 충분히 재보충 해주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고무재질인 타이어는 겨울철 딱딱하게 굳습니다. 따라서 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겨울철 주행거리가 많거나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을 다니는 경우 윈터타이어를 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럴 상황이 되지 못한다면 써머타이어 보단 사계절 타이어를 사용하길 추천합니다. 

 

겨울철 타이어보단 저속 안전운전이 가장 안전합니다.

 

4. 워셔액 및 와이퍼 점검

눈이 오거나 강한 한파가 몰아칠 때를 대비해 와이퍼와 워셔액 점검도 해주도록 합니다. 서리가 내려앉거나, 비나 눈이 온 다음날 유리에 얼었을 경우 절대로 와이퍼를 작동해서는 안됩니다. 와이퍼의 고무와 유리가 손상을 입기 때문입니다.

 

엔진 예열 후 히터를 틀어 유리를 녹인 뒤 와이퍼를 작동하도록 합니다. 눈이 오기 전날 와이퍼를 세워 놓거나, 앞 유리 커버를 씌워 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동액 성분이 들어간 워셔액도 시중에 판매가 되고 있기 때문에 워셔액을 구비하여 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디젤 차량 예열플러그 점검

예열플러그사진

디젤 차량의 경우 시동을 걸 때 예열 플러그를 사용하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예열 플러그가 작동되는 시간이 좀 더 걸릴 수가 있기 때문에 시동 전 예열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열 플러그의 점검 방법으로 평소와 다르게 시동을 걸었을 때 매연이 많이 나오거나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다면 예열 플러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6. 눈길 주행 후 하부 세차

세차장 하부세차
셀프 세차장 바닥

눈이 내리게 되면 도로에는 염화칼슘이 뿌려집니다. 염화칼슘은 차량 하부에 붙어있고 이를 빨리 닦아내지 않는다면 바퀴와 차량하부와 도장면에 녹과 부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눈길 주행 후가 아니더라도 겨울철엔 주기적으로 차량 하부세차를 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