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버터블 차량을 구매할 때 가장 큰 고민은 탑(지붕)입니다. 흔히 오픈카라고 불리는 컨버터블 차량은 탑의 소재와 구조 차이로 소프트탑과 하드탑으로 나뉩니다. 각각 어떤 특징과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컨버터블 하드탑 특징
컨버터블이라고 불리는 자동차는 지붕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자동차를 말합니다. 동일한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카브리올레, 로드스터 등이 있습니다.
컨버터블에는 하드탑과 소프트탑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우선 하드탑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드탑 장점
1. 편리한 유지 관리
2. 우수한 내구도와 안정성
3. 외부 소음이 차단 잘됨
첫 번째 하드탑의 장점은 편리한 유지관리입니다. 탑의 재질이 일반 차량들과 동일한 금속 및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찢어지거나 전용 세차용품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또한 색상 변화를 위해 도색, 랩핑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두 번째 하드탑의 장점은 우수한 내구도와 안정성입니다. 차체와 강성이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기에 전동식으로 열고 닫힙니다. 따라서 고장 나서 교환을 하거나 수리받을 경우가 드뭅니다. 만약 전복사고가 났을 경우에도 소프트탑 보다 튼튼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하드탑의 장점은 외부 소음이 잘 차단되는 것입니다. 소프트탑보다 견고하게 탑이 장착되기 때문에 풍절음이나 외부 소음이 조금 더 잘 차단된다고 합니다.
하드탑 단점
1. 트렁크 용량 부족
2. 소재와 전동모터로 중량이 늘어남
3. 탑 오픈 여부에 따른 주행 질감 변화
4. 오래될수록 차량 뒤틀림으로 인한 잡소리 발생
첫 번째 단점은 트렁크 용량부족입니다. 차체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고, 모터까지 사용되었기 때문에 트렁크의 용량이 확연하게 부족해집니다.
두 번째 단점은 무거운 중량입니다. 차체의 소재가 소프트탑 소재보다 훨씬 무겁고 모터까지 사용되었기 때문에 차량의 중량이 상당히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단점은 탑의 오픈여부에 따라 주행 질감이 상당히 변화하는 것입니다. 탑을 닫고 주행했을 때는 평범한 쿠페 차량처럼 탈 수 있지만, 탑을 열었을 때 소프트탑보다 무거운 루프가 트렁크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량 뒤쪽이 상당히 무거워지는 것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단점은 오래될수록 차량 뒤틀림으로 인한 잡소리 발생입니다.
컨버터블 소프트탑 특징
이번엔 소프트탑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프트탑 장점
1. 주행 중 오픈 가능
2. 탑 오픈 시 안정적인 무게 배분
3. 오픈카 감성
첫 번째 소프트탑의 장점은 주행 중 탑을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차량에 따라 다르지만 50km 미만의 속도에서는 오픈이 가능한 차량이 많습니다. 따라서 3050 도로인 한국에서는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소프트탑의 장점은 안정적인 무게 배분입니다. 가벼운 천 소재의 소프트탑은 열었을 때 무게 배분이 일정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탑을 열면 트렁크 부분으로 탑이 접혀 들어가는데, 탑을 열거나 닫았을 때 주행 느낌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세 번째 소프트탑의 장점은 한껏 누릴 수 있는 오픈카 감성입니다. 누가 봐도 소프트탑 차량은 오픈카임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컨버터블 소프트탑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잘 잡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비 오는 날 소프트탑으로 떨어지는 빗소리는 엄청난 감성과 재미를 선사합니다.
소프트탑 단점
1. 까다로운 관리
2. 상대적으로 약한 내구성
3. 취약한 방음
첫 번째 소프트탑의 단점은 까다로운 관리입니다. 차체와 다른 재질인 가볍고 약한 천재질로 되어있어서 날카로운 물체에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풍 방수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까다로운 관리가 필요합니다.
두 번째 소프트탑의 단점은 약한 내구성입니다. 하드탑과 반대로 소재 자체가 부드럽기 때문에 차량 전복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안전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소프트탑의 단점은 취약한 방음입니다. 외부의 소음 차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서 이야기하는 소리가 밖으로 새어 나가거나, 밖의 소리가 잘 들려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리
하드탑과 소프트탑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하드탑이 적용된 BMW 4시리즈 컨버터블은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가 상당히 좋습니다. 하드탑 적용 시 세단과 같이 겨울엔 세단으로, 여름엔 오픈카로 이용할 수 있는 강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인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소프트탑이 적용된 포르셰 박스터모델은 오픈카 스포츠카의 이미지가 아주 잘 자리 잡아 있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마니아층이 자리 잡고 있는 차량입니다. 오픈카의 감성을 제대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두 가지의 장단점은 분명하기 때문에 본인의 취향과 상황에 맞게 차량을 골라서 구매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컨버터블 차량의 하드탑과 소프트탑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차량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스로이스 팬텀 시리즈2 2023년형 디자인 제원 성능 가격 (0) | 2023.03.30 |
---|---|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엔진 (MHEV) 장점 단점 특징 전망 (0) | 2023.03.26 |
포르쉐 718 박스터 Boxter 2023년형 디자인 제원 성능 가격 유지비 (0) | 2023.03.25 |
벤틀리 컨티넨탈 GT 2023년형 V8 디자인 제원 성능 가격 설명 (0) | 2023.03.19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2023년형 제원, 성능, 가격 설명 (0)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