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아나 : 공주를 포기하고 영웅이 된 바다소녀

by JKcar 2022. 5. 12.
반응형

출처 구글 모아나

 

바다의 애착심이 큰 모아나의 탄생과 배경

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영화 '모아나'는 시작합니다. 태초에 여신 '테 피티'가 만물을 창조하고 긴 잠에 빠집니다. 테 피티의 심장에 담긴 창조의 힘을 '마우이'가 탈취합니다. 이때부터 바다에 폭풍우가 몰아치고, 괴물이 생겨납니다. 할머니에게 이 이야기를 듣고 자란 '모아나'는 '모투누이'섬의 족장의 딸입니다. 모아나는 후대 족장이 될 교육을 받았지만, 바다로 나가고 싶은 마음이 가득했습니다. 항해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아버지를 피해 돼지'푸아'와 함께 낚싯배로 바다로 나갑니다. 이들은 바다에서 파도를 만나 푸아를 잃을 뻔하고 겨우 해변으로 돌아옵니다. 모아나의 아빠도 항해를 나갔다가 친구를 잃었다는 이야기를 해줬고, 모아나는 항해에 대한 꿈을 접습니다.

모아나가 20대가 되었을 즈음, 섬에 위기가 닥칩니다. 코코넛이 시들고, 고기들이 하나도 잡히지 않는 사실을 모아나는 아버지에게 바다로 나가자고 건의합니다. 아버지는 모아나에게 아직도 정신을 못차렸냐며 크게 혼납니다. 할머니가 모아나에게 찾아와 '넌 젊을 때의 나와 같이 바다로부터 선택받았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징조는 테 피티가 힘을 잃었기 때문이고, 마우이를 찾아 힘을 되찾아 놓는다면 원래대로 돌아올 것'라고 말합니다. 

여기까지 모아나의 탄생과 배경입니다.

 

모투누이 섬의 평화를 위해 바다로 뛰어든 모아나

모아나는 할머니의 말을 듣고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갑니다. 배에는 멍청한 닭'헤이헤이'가 타있고, 둘은 항해를 시작합니다. 폭풍에 휩쓸려 한 섬에 도착하고, 그 섬이 마우이가 갇힌 섬인 것을 알게 됩니다. 모아나는 섬에서 마우이를 만났고, 마우이가 힘든 시절 이야기들을 듣습니다. 서로를 인정하게 된 둘은 친구이자, 스승과 제자가 되었습니다. 모아나는 마우이가 과거의 실력을 되찾도록 용기를 주었습니다. 반대로 마우이는 모아나에게 항해술을 가르쳐줍니다. 모아나와 마우이는 '테 피티'에게 심장을 되돌려주기 위해 용암괴물'테 카'를 마주합니다. 둘은 의견 충돌을 합니다. 결국 마우이는 화를 내며 매로 변신하고, 날아가 버립니다. 이때 할머니가 쥐가오리로 환생해서 모아나 앞에 나타납니다. 그리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으라'고 말하고 떠납니다. 용기를 얻은 모아나는 바다로 들어가 심장을 찾아서, 테 피티에게 향합니다. 모아나는 용암 괴물 '테 카'가 곧 '테 피티'라는 것을 깨닫고 진심으로 이야기하고 진정시킵니다. 이윽고 모아나는 심장을 돌려줍니다.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온 테 피티는 세상을 회복하고, 모아나에게는 새로운 배를 제공하고, 마우이에게는 새로운 갈고리를 줍니다. 이윽고 모투누이 섬은 저주가 풀립니다. 모아나가 다시 돌아오자 부족들은 그녀를 격하게 반겨줍니다. 모든 일이 끝난 후 모든 부족들은 모아나의 항해술로 다시 대양 향해를 떠납니다. 영화 '모아나'는 끝이 납니다.

 

영화 '모아나'의 감상평과 내 생각

모아나는 스토리가 탄탄하지 않았지만, 확실하게 이야기 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여성인권신장용 영화 같았다. 첫 번째 이유는 모투누이 섬의 족장이 자신의 자리를 딸에게 넘겨주는 장면입니다. 또 다른 자식들이 있었음에도 모아나에게 후대 족장의 자리를 물려준 것은 여성인권을 높이기 위함을 보여줬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영화 속 많은 갈등과 문제 해결에 여성이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고, 해결을 위한 결정적인 도움을 줍니다. 모아나와 모아나의 할머니, 그리고 생명의 신 '테 피티'까지 모두 여자입니다. 모아나가 바다로 무작정 항해하려고 짐 쌀 때 도와준 것도 모아나의 엄마였습니다. 여성들의 자신감과 권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들입니다. 셋째 이유는 마우이가 모아나를 인정하는 장면입니다. 모아나와 마우이가 처음 만났을 때, 마우이는 모아나에게 '여자는 항해를 못한다'라며 무시했습니다. 하지만 모아나 덕분에 갈고리도 되찾고, 목숨을 구한 마우이는 모아나의 용기를 인정하고, 항해하는 법도 적극적으로 가르쳐 줬습니다. 이런 장면들은 여성인권을 장려하는 모습들입니다.

남성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이 나온다고 무조건 사랑의 결실을 맺는 것은 아닌 영화였습니다. 결국 마우이는 공주인 '모아나'와 이어질 수 없는 사회적 계층이 있었음을 느꼈습니다.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마우이는 열등감이 많은 남자주인공으로 나왔습니다. 이상으로 영화 '모아나'의 감상평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